Search

만성 콩팥병(eGFR 30-60) 환자의 식이 및 생활요법

만성 콩팥병(eGFR 30-60) 환자의 식이 및 생활요법

만성 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 3단계(eGFR 30-60)는 신장 기능이 중등도로 저하된 상태로, 식이와 생활습관 관리가 질병의 진행을 늦추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식이요법
단백질 섭취 제한
하루 0.8g/kg 정도의 단백질 섭취가 권장됩니다. 과도한 단백질 섭취는 신장에 부담을 주고, 질병 진행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은 주로 우유, 달걀, 생선, 고기 등 양질의 단백질 식품에서 섭취하되, 매끼 한 가지씩(예: 계란 1개, 두부 1/5모, 작은 생선 1토막, 고기 탁구공 크기) 정도가 적절합니다
염분(나트륨) 제한
하루 소금 5~6g(나트륨 2.0~2.3g) 미만으로 섭취를 제한합니다. 김치, 젓갈, 장아찌, 가공육, 인스턴트 식품 등 염분이 많은 음식은 피하고, 국물류 섭취도 줄입니다.
충분한 열량 섭취
단백질 제한으로 인한 영양 부족을 막기 위해 곡류, 식물성 기름, 사탕, 잼 등으로 충분한 에너지를 보충해야 합니다. 식사량이 줄었다면 간식(빵, 떡, 과자 등)이나 영양보충음료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칼륨 및 인 섭취 조절
칼륨과 인의 제한은 환자 개개인의 혈중 농도 및 신장 기능에 따라 달라집니다. 고칼륨혈증 위험이 있으면 바나나, 오렌지, 감자, 시금치 등 고칼륨 식품을 제한하고, 인이 많은 유제품, 견과류, 가공식품도 주의합니다. 야채는 될수록 데쳐서 드세요.
수분 섭취
초기에는 특별한 제한이 필요 없으나, 부종이나 고혈압, 소변량 감소 등이 동반되면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수분 섭취를 조절해야 합니다.
생활요법
혈압, 혈당 조절
고혈압과 당뇨병은 만성 콩팥병의 주요 원인이자 악화 요인이므로,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규칙적인 신체활동
심폐기능이 허락하는 범위에서 중등도 유산소 운동(빨리 걷기, 자전거 타기 등)을 주 5회, 1회 30~50분 이상 권장합니다.
적정 체중 유지
비만은 신장 부담을 늘릴 수 있으므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연 및 절주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신장 기능 저하와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므로 피해야 합니다.
약물 및 건강보조식품 주의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진통제(NSAIDs), 일부 항생제, 한약, 건강보조식품 등은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 후 복용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검진 및 의료진 상담
영양 상태, 전해질 이상, 신장 기능 변화 등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식이요법은 반드시 전문의나 영양사와 상의하여 개인 맞춤형으로 조절해야 합니다.